[한국사건] 3연속 건널목 사망 사고


 2002년 대한민국 철도 연쇄 사고: "새마을호 162"

2002년 5월 1일, 대한민국에서 발생한 일련의 철도 사고는 역대 가장 기이한 사건으로 기억되고 있다. 당시 발생한 사고는 단 한 대의 열차에서 3명의 사망자가 나온 초유의 사건이었다. 이 사고는 전 세계적으로도 유례가 없는 비극적 사례로 남게 되었다.



사고 발생

사고 열차는 구 새마을호 #162호로, 전라선 여수역에서 10시 20분에 출발하여 서울역에 15시 51분에 도착할 예정이었다. 사고는 30분도 되지 않아 첫 번째 사고가 발생하면서 시작되었다.

첫 번째 사고: 율촌역 인근 여흥건널목

10시 46분, 여수역 출발 26분 후, 전라선 율촌역 인근의 여흥건널목에서 첫 번째 사고가 발생했다. 81세의 할머니가 열차에 치여 사망했다. 당시에는 평범한 건널목 사고로 보였으나, 이 사고는 시작에 불과했다.

두 번째 사고: 삼례역 구내 익옥천철교

사고 여파로 기관사를 교체하고 운행을 재개한 후, 1시 4분, 전라선 삼례역 구내 익옥천철교에서 또 다른 사고가 발생했다. 82세의 할머니가 열차에 치여 사망했다. 이 사고로 일부 승객들은 공포에 질려 중도 하차한 뒤 환불을 요구하기도 했다.

세 번째 사고: 함열역 인근 용성건널목

두 번째 사고가 발생한 지 불과 35분 후인 1시 39분, 호남선 함열역 부근의 용성건널목에서 세 번째 사고가 발생했다. 90세의 할아버지가 열차에 치여 사망했다. 이제 이 사고 열차는 3시간도 되지 않은 시간 안에 3명의 사망자를 발생시킨 것이다.

사고의 원인과 철도청의 조사

철도청은 사고 조사 후, 해당 기관사들 모두 특별한 잘못이 없다고 결론을 내렸다. 사고의 원인은 전적으로 사망자들의 과실이었다. 사고가 발생한 건널목은 경보 장치와 신호가 제대로 작동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피해자들은 이를 무시하고 무단으로 건널목을 건넌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세 번째 사고의 피해자는 건널목 관리자의 제지에도 불구하고 무단으로 건널목을 넘다가 사망했다.

여파와 후속 조치

비록 기관사에게 잘못이 없다고 결론났지만, 사고의 기괴함과 연쇄 사고로 인한 충격으로 철도청은 유족들에게 장례비를 지급했다. 또한, 기관사들은 일정 기간 휴가를 받았다. 이 사고는 인터넷을 통해 퍼지며 다양한 미스터리한 이야기를 낳았다. 일부 사람들은 이 사고를 '원귀'나 '저승사자'가 개입한 사건으로 해석하기도 했다.

Popular posts from this blog

[일본] 빨간 마스크

[KoreaCase] Korean Air Fokker F27 hijacking attempt

[일본] 1985년 일본의 크리넥스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