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사건] 챌린저 우주왕복선 폭발 사고
챌린저 우주왕복선 폭발 사고는 1986년 1월 28일, 미국 우주왕복선 프로그램의 역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로 기록되었다. NASA의 우주왕복선 개발 이래 25번째 임무였던 STS-51-L 미션은 우주 통신망 확충과 원격 교육, 핼리 혜성 관측 등 다채로운 목표를 가진 야심 찬 프로젝트였다. 그러나 발사 후 불과 73초 만에 폭발하며 승무원 7명 전원이 사망하는 대참사로 끝났다. 사고의 배경 이 임무는 NASA가 추진한 '우주 교사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민간인 교사 크리스타 매콜리프가 우주에서 과학 실험을 통해 원격 수업을 진행할 계획이었다. 1985년부터 준비된 이 프로젝트는 12,000여 명의 교사 지원자 중 매콜리프를 선발하며 큰 주목을 받았다. 동시에, 핼리 혜성 관측이라는 천문학적 기회를 잡기 위해 NASA는 일정에 큰 압박을 받았다. 그러나 발사 일정은 여러 차례 지연되었다. 초기 계획은 1월 22일이었으나, 이전 임무의 지연, 기상 문제, 발사 준비 과정의 기술적 문제로 인해 발사는 1월 28일로 미뤄졌다. 발사 당일, 기온은 평년보다 크게 낮은 영하 1.1℃였으며, 이로 인해 사고의 근본 원인으로 지목된 로켓 부스터의 O-Ring이 탄성을 잃는 문제가 발생했다. 사고의 전개 발사 후 약 59초, 우측 로켓 부스터의 이음매에서 불꽃이 분출되기 시작했다. 이는 외부 연료탱크의 손상을 초래하며 결국 폭발로 이어졌다. 폭발은 73초 지점에서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왕복선은 공중에서 산산조각났다. 충격적으로, 승무원들은 폭발 직후에도 살아 있었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 비상용 호흡 장치 7개 중 3개가 활성화된 채 발견되었으며, 최종적으로 승무원들은 고속으로 바다에 추락하며 사망한 것으로 추정된다. 사고의 영향 챌린저 사고는 NASA의 우주왕복선 프로그램과 우주 탐사 계획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우주왕복선 발사는 사고 이후 2년 8개월간 중단되었고, 안전성 강화와 설계 개선을 위한 전면적인 점검이 이루어졌다. 사고 조사 과정...